호텔 저렴하게 예약하는 방법 – 온라인여행사 직원이 공개한 6 가지 추천 팁

호텔관광경영학과를 졸업한 뒤 온라인여행사에서 근무한 경험과 수백건의 숙소 예약을 통해 얻은 “호텔 저렴하게 예약하는 방법” 에 대해 공개한다.

호텔을 싸게 예약하기 위해서는 시장의 생리를 이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. 호텔은 썩는 제품 (Perishable Goods) 즉, 객실이 100개인 호텔에서 80개의 객실만 예약이 된 상태라면 나머지 20개의 팔지 못한 객실로부터 손해가 발생하는 구조다. 여행에서 가장 많은 비용을 차지하는 “숙소” 를 어떻게하면 최저가로 예약할 수 있을까?

  1. 마감특가 (땡처리 특가) 노리기
  2. 호텔 공식 사이트 공략하기
  3. 세금/봉사료 등 숨은 가격 확인하기
  4. 최대한 많은 온라인 호텔 예약 사이트 확인하기
  5. 호텔 예약 사이트 쿠폰 신공
  6. 호텔에 메일이나 전화로 직접 문의하기

마감특가 (땡처리 특가) 를 노리는 방법

앞서 설명한 호텔업의 “썩는 제품” 특성상 당일 객실의 점유율 (Occupancy Rate) 이 낮을 경우 땡처리 특가를 운영하는 호텔이 많아지는 추세이다.

너무 싸게 예약하면 호텔 이미지에 타격이 갈 수 있어 가격 하한선(Best Available Rate) 을 운영하는 호텔도 있다. 이를 피하고자 특정 채널에서만 비밀리에 노출 되는 가격을 운영하기도한다. 이러한 채널에 대해 앞으로 자세하게 소개할 예정이다.

호텔 공식 사이트의 “회원 전용 상품” 을 공략하라

호텔 체인 (힐튼, 신라호텔 등) 과 온라인 예약 사이트 (익스피디아, 아고다 등. 앞으로 Online Travel Agency; 앞으로 “OTA” 라고 표기) 의 관계는 “적과의 동침” 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. OTA 는 폭발적인 모객을 호텔에게 제공하여 예약 당 % 로 수수료를 책정하고 있다.

모객의 볼륨적인 측면에서 OTA 를 무시할 수 없지만, 계속 높아지는 수수료를 최대한 줄여보고자 호텔 체인도 자사 공식 채널을 통해 온라인 예약을 제공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. 호텔 <-> OTA 간 계약상 몇몇 호텔은 OTA 보다 더 저렴한 요금을 공식 채널에 올릴 수 없기도한데, “회원 전용 특가 상품” 이라고 포장하여 더 저렴한 요금을 올리기도한다.

투숙하고 싶은 호텔을 리스트업하고 해당 호텔 공식 홈페이지 (앞으로 “공홈”으로 표기) 회원가입, 이메일 뉴스레터, 페이스북, 인스타그램 등 다양한 채널로부터 소식을 접하라.

세금/봉사료 등 숨은 가격에 낚이지 마라

호텔 예약 사이트, 호텔 가격비교 사이트, 호텔 예약 앱, 공홈 등에서 가격을 표시 하는 방법은 각각 다르다. 가격을 비교 할 때는 저렴하게 (세금, 봉사료 등 추가금액을 빼고 보여준다) 보여주다가 막상 요금을 결제할 때의 가격이 다른 경우가 비일비재하다.

국가에서 이런 낚시에 대해 규제를 강화했지만 해당 규제가 외국 서비스에는 법적 강제력이 없어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. (관련 기사: 해외 호텔예약사이트 꼼수 최저가 주의…’배보다 배꼽’ 세금 별도) 해외에 본사를 둔 한 호텔 가격비교 서비스의 앱은 심지어 “총액 표시” 기능조차 없다.

국내에 본사를 둔 전세계 호텔, 펜션 가격 비교 서비스인 “올스테이”는 해외에 본사를 둔 OTA 조차도 총액으로 표시하여 가격 비교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.

00000000.jpg

최대한 많은 사이트, 앱을 확인하라

어느정도 규모가 있는 호텔은 채널 관리 시스템 (Channel Management System) 을 사용하여 다양한 채널 (익스피디아, 아고다, 부킹닷컴, 에어비앤비 등 온라인 채널 뿐 아니라 공식 홈페이지 등) 의 가격을 관리하고 있으며 호텔의 전략에 따라 채널별 가격을 다르게 운영하는 곳이 부지기수이다.

해외 호텔 예약 시 간과하는 부분이 “해외 OTA 가격만 확인하기” 이다. 하나투어, 모두투어 등 국내 여행사에서 선매입한 경우에 무척 저렴한 요금으로 이용 가능하니 빠뜨리지 말고 체크하자.

앞서 소개한 올스테이 같은 호텔 가격 비교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OTA 의 가격을 빠르게 비교 예약 할 수 있다. 아고다, 익스피디아 같은 글로벌 OTA 뿐 아니라 하나투어, 여기어때 같은 국내 예약 서비스도 비교 예약이 가능하다.

호텔 예약 사이트의 쿠폰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라

호텔이 OTA 에게 바라는 건 예약 볼륨이다. 예약이 많아지는 성수기에는 OTA 끼리의 경쟁이 치열해지기 때문에 할인 쿠폰을 통해 중복 할인을 제공하기도한다.

OTA 와 파트너쉽을 통해 가격 비교를 제공하는 호텔 가격 비교 서비스인 올스테이에서는 아고다, 익스피디아, 트립닷컴 등 해외 호텔 예약 사이트로부터 쿠폰도 제공하고 있다. (호텔 예약 사이트 할인 쿠폰 관련 글 보기)

올스테이로 최저가를 제공하는 OTA 를 찾는 것 뿐 아니라 해당 OTA 의 할인 쿠폰까지 사용하도록하자.

호텔에 직접 메일 혹은 전화로 문의하기

호텔에 직접 할인을 문의하는 경우도 있다. 특히 온라인에서 영향력이 있거나(Influencer) 여행 업계 종사자를 위한 할인을 운영하는 호텔도 있다. 필자는 글로벌 OTA 재직 시 몰디브 리조트에서 여행 업계 종사자 특혜로 룸 업그레이드를 받은 적이 있다. 정중하게 물어보는 것은 실례가 되지 않는다.